본문 바로가기

음향, 영상이야기

음향콘솔-블럭다이어그램을 보자-2. 메인입력부

지난 글에서는 블럭도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알아 보았고 이제 실제 블럭도의 상세 부분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상세 설명의 시작으로 블럭다이어그램의 입력부를 알아보겠습니다.

입력단의 경우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콘솔이 큰 차이가 없는것 같습니다. 디지털 콘솔의 경우는 신호를 다룰 수 있는 DSP(컴프레서, 리미터 등)처리 파트가 더 들어가 있는 정도일거 같습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블럭도만 읽을 수 있으면 디지털 콘솔의 블럭도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역시 Mackie 사의 Onyx1640메뉴얼에서 발췌한 블럭도를 기준으로 하고 번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48V: 팬텀파워 전원 소스. 48V 전압을 XLR단자로 공급해줘서 컨덴서 마이크나 액티브다이렉트박스 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전원 공급. 스위치가 있어서 on/off 가능. LED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태표시를 해주고 X,L,R 중에 L,R에 동시에 48V 전압이 걸리기 때문에 다이나믹마이크의 진동판 양쪽에 같은 전압이 걸리게 되어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2. MIC: XLR 커넥터로 구성된 마이크 입력 단자. XLR 커넥터를 사용하여 외부 입력 받. 1(X,Gnd)단자는 장비의 그라운드와 연결. 2,3(LR,+-)팬텀파워소스와 연결됨.

3. Line: TRS 55단자 사용. 신호는 게인으로 입력되며, 팬텀파워는 캐패시터로 막혀있어서 쓰지 않음. 아래단의 Hi-z단자의 경우 단자와 게인 사이에 OPAMP회로가 있어서 연결되는 큰 임피던스를 가진 장비도 연결할 수 있음. 이 회로의 동작을 위해 스위치 있고 MIC와 Hi-z 중 선택 가능.

4. Gain: 흔히 마이크프리앰프라 하는 증폭회로. 입력단에는 +.-가 있어서 발란스 신호를 받고 내부에서 변환하여 싱글 신호로 다음단으로 넘겨줍니다. 상단 표시는 조절 가능한 노브 의미. 게인 회로와 마이크단자 사이에는 캐패시터가 있어서 팬텀파워가 게인회로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DC전압을 막아줌.

5. HPF(high pass filter): 낮은 주파수 대역을 막아주는 회로. 회로를 우회하는 선과 HPF를 거치는 두가지 경로를 볼 수 있으며 이는 스위치에 의해 선택할 수 있음. 이 콘솔은 컷 하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노브가 없어서 특정 주파수(75Hz)부터 18dB/Oct 의 기울기로 입력신호의 저역 주파수가 작아지게 됩니다.

6. Insert: 해당 채널의 insert컨넥터로 나가는 신호 위치. 인서트의 원리는 해당 55단자 회로 심벌을 자세히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인서트 단자에 아무것도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왼쪽 HPF에서 나온 신호는 55단자의 링의 화살표와 팁의 단자로 연결되어서 다시 팁의 화살표와 링으로 연결되어 출력으로 나와서 다음 EQ부분으로 연결됩니다. 결과적으로 팁과 링이 그대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됩니다. TRS 55커넥터를 TRS 단자를 연결하면  화살표들과 팁/링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면 HPF의 출력신호는 팁으로만 연결이 되어 외부 장비로 출력이 되고 외부 장비에서 들어온 신호는 링을 통해 EQ단으로 연결됩니다. TRS 잭은 아래와 같이 여러 종류가 있고 이 경우는 가운데 있는 잭을 채용합니다. 


7.EQ: 이 콘솔의 채널 EQ는 4밴드이고 가운데 2개의 밴드는 조절 노브가 두개가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는 크기를 하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바이패스하는 신호라인이 있고 이를 on/off하는 스위치가 있습니다.

8. 채널레벨미터: 각 채널에서 표시되는 레벨은 EQ 다음단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즉, 콘솔의 각 입력 채널에 있는 레벨미터는 바로 여기서 측정되는 레벨을 표시해 주는 겁니다.

9. Mute: 뮤트하는 스위치가 있고 LED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태를 표시해 줍니다. 이 스위치의 한쪽은 역삼각형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표시는 그라운드입니다. 따라서 신호가 그라운드로 연결되어 다음단으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10. 페이더: 큰 삼각형과 동그라미에 화살표가 가로 지르는 표시가 있습니다. 큰 삼각형은 전자회로에서 통상 증폭, 특별히 opamp를 나타냅니다. 동그라미+화살표 표시는 크기를 바꿀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이 페이더 표시는 크기를 바꿀 수 있는 가변회로라는 표시입니다. 페이더의 경우 통상 약간의 증폭과 큰 감쇄를 할 수 있습니다.

11.Pan: 팬을 지나면서 신호는 두 개로 갈라지게 되고 갈라지는 양은 역시 노브를 통해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갈라진 신호는 메인 LR/SUB12/SUB34/Solo LR로 분배되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2. 그룹 assign: 각 그룹별로 두 채널이 연동된(점선으로 연결) 스위치가 있어서 해당 스위치를 통해 각 그룹으로 출력할지 말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스위치를 지난 신호는 가운데 있는 버스라인으로 연결되고 각 선을 따라서 올라가보면 해당 신호 라인의 이름을 볼 수 있습니다.

13. Aux sends: 이 콘솔이 가지고 있는 6개의 억스에 대한 각 채널의 출력 레벨과 연결방식에 대한 결선을 볼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각 채널당 두개의 노브가 있어서 12개가 있으나 두개씩 노브가 점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실제로는 하나로 운영되고 둘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는 이 콘솔의 경우는 억스마스터단에 있습니다. 채널 당 두개의 노브에는 각각 다른 신호가 들어감을 알 수 있습니다. 위쪽 노브는 페이더와 팬 사이에서 라인이 오고 아래쪽 노브는 페이더 앞단에서 들어온 신호가 들어갑니다. 우리는 앞의 신호는 post fader라고 부르고 뒤의 신호는 pre fader라고 합니다. 두 신호 모두 뮤트 다음 단에서 받아오기때문에 뮤트를 누르면 어느 경우도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우측으로 신호는 연결되고 위, 아래로 따라가보면 신호 이름을 알 수 있습니다.

14. Solo: 솔로 버튼을 누르면 네 가지 신호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점선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LED로 표시 해줍니다. 

14.1 위의 두개 신호는 팬 다음에서 받아 오기 때문에 두개를 받아오고 이 신호는 solo(afl:after fader listen:페이더 지난 신호를 들음)이라는 신호가 됩니다.

14.2 세번째 신호는 EQ와 Mute 사이에서 신호를 받아오는데 이 신호는 solo(pfl: pre fader listen, 페이더 앞 신호 들음) 이라는 신호가 됩니다. 이 신호는 뮤트 앞단에서 오기 때문에 뮤트 버튼을 눌러도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14.3 네번째 신호는 물결에서 오는 이 물결은 일종 정해진 전압 신호이고 이 신호를 출력해 줌으로 다른 회로에서 solo가 눌러졌다는 상태를 알게 됩니다. 이는 solo(logic)이라고 합니다.

15. Recording output: 이 콘솔은 DSUB25 컨넥터의 형태로 8채널씩 16채널 전체에 대한 각 채널의 다이렉트 출력을 내보내 줍니다. 해당 신호는 게인을 거친 바로 이후의 신호가 들어옴을 알 수 있고 따라서 HPF나 EQ, 뮤트, 페이더, 패닝과 전혀 무관하게 다이렉트 신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16. To firewire output: 이 콘솔은 옵션으로 firewire 인터페이스를 추가할 수 있고, 이 옵션이 추가되면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은 역시 Recording output과 같은 신호를 보내줍니다. 

17. 버스신호: 음향 시스템 블럭도에서는 수많은 입출력 신호를 모두 개별로 연결해주지 않고 이런 식으로 신호를 모아서 보내주면 표기와 이해가 쉽기 때문에 각 선들을 가운데로 모아줍니다. 각 신호의 이름은 위, 아래에 모두 표기 되어 있습니다. 왼쪽에서는 입력신호들이 모여 들어오고 모인 신호는 오른 쪽으로 나가게 됩니다.

지금까지 입력 신호의 주된 부분을 알아보았고 다음은 부가적인 입력 신호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한 용어나 단어 등 궁금한 점은 언제나 덧글로 문의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