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의 모 시장 시절 같으면 간단히 씹어주고 짓고 싶은 건물 지었을듯.

사소한 유물이라도 민간에서 공사중에 유적 나오면 건축에 엄청난 영향을 끼칩니다.

공사장 근처 전부 발굴 때문에 공사중지되고, 아무 것도 못하게 된다는..

예상은 별거 아니다, 라고 나오거나 다른데로 옮기고 그냥 공사할 듯~

-----------------------------------------------------------------------

17~18세기 건물 흔적

옛 동대문운동장 야구장 땅 밑에서 조선시대의 건물터가 발견됐다.
지난 1월부터 서울 시 균형발전본부 의뢰로 이곳을 시굴(시험 발굴) 조사중인 중원문화재연구원(원장 차용걸)은 본부석과 1루·3루 스탠드가 있던 자리에서 기와 시설물과 석렬(石列·돌이 줄지어 이어진 흔적) 등의 유구(遺構·옛 건축물의 흔적)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특히 본부석과 1루 내야석 스탠드 사이의 지역에서는 지표 2~3m 아래에 기와류·자기류가 묻혀 있는 문화층과 석렬, 석축(石築·돌로 쌓은 흔적) 유구가 확인됐다. 1루 스탠드 땅 밑에서는 기와로 만든 배수로 흔적도 발견됐다. 연구원의 김병희 조사실장은 "17~18세기의 건물 흔적으로 보이며, 건물의 성격은 정식 발굴 때까지 기다려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본부석과 1루·3루 스탠드 땅 밑 곳곳에서는 끝을 뾰족하게 깎은 뒤 박아 넣은 나무기둥들이 줄을 이룬 채 확인됐는데, 1925년 동대문운동장의 전신인 경성운동장을 건설할 당시 땅을 다지기 위해 박은 것으로 보인다. 당시 운동장을 건설하면서 땅을 깎고 덮는 작업이 이뤄져 많은 유적이 파괴됐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동대문운동장 야구장은 지난해 12월 철거가 시작돼 지난달 작업이 끝났으며, 축구장은 6월까지 철거를 끝낼 예정이다. 축구장 자리는 서울 성곽이 관통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시굴 조사 결과가 주목된다. 서울시는 이 자리에 '동대문 디자인플라자 & 파크'를 건립할 계획이다.

[유석재 기자 karma@chosun.com ]

과연 예측대로 줄어드는지 지켜보리라..

물론 각종 편법 난무하겠지만....그런건 확인도 안되니..

현 정부에서 쏟아 놓는 많은 정책들이 마치 기존 정권이 삽질한거 수정하는 것처럼 일방적으로

밀어 붙이는데, 과연 정말 그럴까?

----------------------------------------------------------

공기업CEO 연봉 얼마나 줄어드나?

매일경제 | 기사입력 2008.05.14 07:30

초미의 관심을 모았던 공기업 기관장 연봉 기준이 공개됐다.
일반 공기업은 차관급인 1억원대 초반에서 정하고, 금융 공기업은 일부 업계 특성을 고려하겠다는 게 골자다.

그렇다면 이번 조치로 실제 일선 공기업 기관장의 연봉에는 얼마나 변화가 있을까?
305개에 이르는 공공기관의 다양성 탓에 쉽게 말하기는 어렵지만 약 20~30%의 연봉 삭감 효과가 기대된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현재 공기업 기관장 기본 연봉 평균치는 1억500만원으로 차관급보다도 도리어 낮지만 성과평가가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연봉이 높은 대형 공기업 CEO 연봉이 일괄적으로 깎이기 때문이다.

먼저 일반 공기업을 보자. 2007년을 기준으로 △한국전력(2억5600만원) △한국도로공사(2억8000만원) △인천국제공항공사(2억9400만원)의 연봉은 대부분 2억원대 중후반에서 형성돼 있다.

개정된 정부의 공기업 연봉 기준에 따르면 이들 기업도 기본 연봉이 1억800만원대로 줄어든다. 여기에 최대 200%에 이르는 성과급도 평가가 엄격해져 다 챙겨받기 힘들 공산이 크다.

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바뀐 기본 연봉에 중간 정도 성과급(100%)을 적용하면 약 2억1600만원대 연봉이 나온다"고 소개했다. '최우수' 성과를 내지 못하는 한 대형 공기업 기관장 연봉이 4000만~7800만원 깎일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는 다만 연봉이 차관급에 못 미치는 공기업의 경우 현재 임금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5억원이 넘는 고액 연봉으로 비난의 화살을 맞았던 금융 공기업은 이번 조치로 연봉이 사실상 '반 토막'이 날 공산이 커졌다.

재정부는 일단 "금융 공기업 기본 연봉 조정 규모는 민간 업계 상황 등 산업 특수성을 고려해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산하 보수조정소위에서 논의할 것"이라는 기본뜻을 밝힌 상황이다.

그러나 정부는 내부적으로 일반 공기업의 150% 선에서 금융 공기업 기본 연봉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차관급 연봉에 대입하면 약 1억6000만원이라는 금액이 나온다.
금융 공기업 성과급을 평균 수준인 100%라 가정하면 연봉이 3억원대 초반에서 결정되는 셈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금융 공기업은 구체적인 금액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김태근 기자]


이런저런 많이 한다는데..

4년만 있으면 확인 가능하겠지.

http://news.joins.com/article/3137316.html?ctg=1003
----------------------------------------------

이명박 대통령과 빌 게이츠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 회장이 6일 청와대에서 만났다. 최고경영자(CEO) 출신 대통령과 세계적 소프트웨어 업체 회장의 만남이었다. 면담과 만찬 등으로 두 사람은 1시간30분을 함께 보냈다.

두 사람이 의기투합한 대목은 재산의 사회 헌납 등 자선(慈善)문제였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기간 중 재산의 사회 헌납을 약속했고, 게이츠 회장은 부부가 함께 운영하는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을 통해 자선사업을 펼쳐 왔다.

올해 7월 MS 회장직에서 퇴임할 예정인 게이츠 회장은 “회사를 나가면 자선의 기쁨을 누리고 싶다”고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전 세계 60억 명의 인구 중 상위 20억 명은 컴퓨터를 살 수 있고, 중간 20억 명은 휴대전화를 구입할 수 있는데 문제는 하위 20억 명의 빈곤층”이라며 “부자들이나 기업을 찾아가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을 써 변화를 가져오는 게 얼마나 즐거운 일인지’를 이야기하려고 한다”고 했다. 게이츠 회장은 “기술이 가난한 사람들의 삶의 질을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내 생애를 바칠 것”이라고 말했다.

만찬장에서 게이츠 회장은 “이 대통령도 기부를 많이 하시고 자선에 관심이 많다고 들었다”며 “퇴임 후엔 함께 자선사업을 하자”고 제안했고, 이 대통령은 “좋은 아이디어다. 특히 아프리카 등지에 대한 기여가 중요할 것 같다”며 흔쾌히 응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이에 게이츠 회장은 “당분간은 어렵겠지만 북한에도 인터넷이 연결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정보기술(IT)의 발전과 ‘IT 양극화’문제도 화제가 됐다. 이 대통령이 “인터넷 문화와 관련된 사람들은 삶의 질이 높아지지만 이와 동떨어진 사람들은 삶의 질이 떨어지며 정보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자 게이츠 회장은 “한국이 기술 개발을 통해 인터넷 광통신망의 가격을 낮춰 보다 많은 사람에게 접속의 기회를 제공한 것을 잘 보고 있다”고 답했다.

이날 만남에서 이 대통령은 “건국 60주년을 맞아 진정한 선진 일류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세계적 인사들의 지혜와 경륜을 구하고 있다”고 소개한 뒤 게이츠 회장에게 ‘대통령 국제자문위원’을 제안했다. 이에 게이츠 회장은 “기업가 정신을 중시하며 경제 활력을 적극 제고하는 한국 새 정부의 노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제안을 수락했다고 청와대 측은 전했다.

게이츠 회장은 자개로 만든 박스 속에 X박스(MS의 가정용 비디오 게임기)를 이 대통령에게 선물했고, 이 대통령은 백자 접시와 주석으로 만든 ‘국제자문위원’ 위촉배를 내놓았다. 이날 게이츠 회장은 “차량 IT와 게임, 교육 등의 분야에 있어서 향후 5년간 모두 1억4700만 달러를 한국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게이츠 회장은 또 “MS는 앞으로 5년간 7조원의 경제 유발 효과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한국 정부 및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실제로 게이츠 회장의 이 대통령 접견에 앞서 한국MS는 현대·기아차 및 정보통신진흥연구원과 차량 IT혁신센터 건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한국게임진흥원과 글로벌 게임 허브센터 건립을 위한 MOU를 각각 체결했다.

글=서승욱 기자, 사진=김경빈 기자

어제 삼성 이건희 회장이 쇄신안이라는 걸 가지고 기자 회견을 했습니다.

온 나라가 떠들석하니 이제 삼성이 정말 변하나 보다라면서 난리가 났더군요.

역시나  이번 건에도 삼성의 언론 장악을 절실히 느껴지더군요.

포털 사이트, 언론 등에 나오는 기사제목들이나 내용들은 이정도면 대박이라는듯한 반응.

국민이 예상한 거의 110% 내용을 담은 내용이라는 등등..

그러나 좀 만 들여다 보면 정말 허울 좋은 뽀대용이라는걸 다 알 수 있는건데...

삼성의 가장 큰 문제는

1. 불법, 탈법, 편법에 의거한 비도덕적인 경영권 승계

2. 경영권 행사를 위한 계열사간 상호 출자를 통한 그룹 장악. 특별히 그 중심에 고객돈을 가지고 있는 삼성생명을 통해 계열사 장악 하고, 비장상 주식(에버랜드)으로 삼성생명을 장악하는 악질.

결국 이두가지는 아무것도 달라진게 없지요.

그리고, 게다가 혁신안이라고 내놓은거중에..

회장에 물러난다는건, 현재도 회장 직함은 직함뿐이고, 실질적인 경영권은 없지요.

이름뿐인 회장이름 뗏다고 뭐가 달라질건지..

'승지원'이라는 본인 집에 '이지원'같은 결제 시스템만 깔면 그만이지

또, 은행업 진출 안한다는건, 내년에 자통법 통과되면 그냥 증권이나 보험사가

입출금이 가능하게 되면 은행 이름만 안달았을뿐, 은행 업무 하는데 전혀 걸림돌 없지요.

다른 쇄신안이라는 것도 별반 다르지 않고..

결정적으로 잘못에 대한 사과는 일언반구 없이 자기가 다 짊어지고 물러난다니..

뭘 어떻게 짊어지고 물러난다는 건지..

이런 내용을 내놓을 수 있는 건 다 내놓았다는 기사 쓰는 저질 언론들..ㅠ.ㅠ.ㅠ

지금 이건희씨 측에서는 왜 내가 고생해서 이룩한 걸 딴 사람들이 뭐라고 하는거냐.

라는 생각에서 일보도 앞으로 나오지 못했다고 보여집니다.

본인들의 그런 행태를 통해서 사회 전반에 깔아놓은 부조리에 대해서는 전혀 인지를 못하는..

아직 멀었군요..

이거 바로 얼마전 이슈가 되었던 내용인데 이대통령이 분명하게

이번 정상회담과는 무관하고 의제도 아니다 라고 밝혔었죠. 21일날..

이거 관련 흐름을 정리하자면,

1월달 당선자 특사 자격으로 정몽준의원이 미국 갔을때 국방부의 요청이 있었는데,

깔끔하게 씹어주시고 (물론 보고는 했겠지만), 좋은 얘기만 줄줄이 성과라고 했었죠.

누구누구도 만나고, 잘 해주기로 했다나 뭐래나..

그리고, 며칠전 정상회담 의제도 아니라고 이대통령이 직접 얘기하고,

귀국후 하루 지나서 바로 '검토중'(이라고 쓰고 결정이라고 읽는다) 기사 떳네요.

기사 내용엔 '한미정상회담과는 무관' 하게 미국 측 요청으로 파견 검토중이라는데..

그게 더 웃김.

http://media.daum.net/politics/dipdefen/view.html?cateid=1068&newsid=20080423031805423&cp=khan&RIGHT_COMM=R8

지금 부시 행정부에서 민주당 대선 후보들이 모두 반대하는 FTA 비준을 밀어붙이겠다는데..

의회는 민주당이 상하원 모두 다수당이고, 예비후보 경선으로 정신없는데 과연 먹혀들지.

아마 부시행정부에서의 립서비스 수준에 머무르는 것 아닐까 싶군요.

무역대표부 대표가 한국특파원들과의 기자회견에서 나온 내용이라는게 더 의심이 들고,

쇠고기협상이 큰 전기라고 하는 것도 이해가 안되고...

오히려 하고 싶은 말은 기사의 마지막에 있는듯...

"일본과 중국, 대만도 한국의 결정이 올바른 것이기 때문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일본은 앞으로 한국과 동일한 입장을 취해야 할 것"이라며 "(이 문제에 대해) 솔직히 변명이 있을 수 없고 (쇠고기 시장개방은) 빠르면 빠를 수록 좋다"

http://media.daum.net/foreign/america/view.html?cateid=1043&newsid=20080423023612336&cp=yonhap

내 또래부터 아들또래까지 계속해서 보고 있는 만화가 있습니다.

바로 "먼나라 이웃나라" 라는 만화 시리즈죠.

비행기 탄다는 것이 꿈 같던 시절, 외국 이야기를 만화로 읽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마치 그 나라에 간것처럼 생생해서 정말 재밌게 읽었던 책.

이제는 '논술시험' 대비라는 이름으로 무지하게 팔리고 있는 책.

무려 천만권이 팔렸다고 하니 그야말로 어마어마한 책.

그러나 이책을 커서 읽다보면 고개를 갸우뚱 거리게 하는 부분들이 좀 있었습니다.

팩트들은 팩트인것 같은데, 작자의 주장이나 표현에서 상당히 껄끄러운 부분들이 있었죠.

그런데 그가 90년대이후 내놓는 주장이나 저작들에서 그 사상을 본격적으로 드러내게 됩니다.

소위 말하는 전통(?)적인 수구 꼴통의 전형이죠.

어제 동호회 게시판에 올라온 한편의 만화를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이정도일줄이야 ....

이런 사람이 쓴 책을 어떻게 애들에게 읽혀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먼나라 이웃나라' 시리즈를 몇번 구매할려다가 안한게 다행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여기 그 한편의 만화를 올려봅니다. (저작권에 걸릴려나?- 저작권 관계로 삭제.ㅠ.ㅠ.)

중앙일보에서 '세계사산책 ' 이라는 이름으로 연재중인 연재만화의 한편입니다.

위키에 나온 그의 프로필도 링크 합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C%9B%90%EB%B3%B5


어마어마한 일들이 며칠 사이에 벌어졌다.

직접세(상속제, 법인세등)의 조정, 학교교육 자율화 방침 발표 등등
도저히 이해가 안되는 정책들이 자율과 규제 혁파(?)라는 이름으로 쏟아지고 있는중에..
뜬금없는 여론 달래기용 정책이 한개 툭 튀어나왔다.
공기업 임금이 비싸니 다시 조정한다는거..

과연 뜻대로 될까?
어떻게 현실화 되고,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현되는지 살펴보겠다.
지금 정부와 코드가 맞는 인사로 채용하겠다고, 공기관 사장들 다 짜르고 새로 임명하는데,
과연 임금을 얼마나 줄인다는 얘긴지.
임금만 줄이고 편법으로 보전해 주는건 아닌지..

아래는 관련기사.
----------------------------------------------------------------------------
http://news.naver.com/hotissue/ranking_read.php?section_id=100&ranking_type=popular_day&office_id=020&article_id=0001954178&date=20080417&seq=3&m_url=%2Flist.nhn%3Fgno%3Dnews020%2C0001954178



민간 전문가 실사 거쳐 임금 체계 조정할 듯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일부 공기업은 현재 하는 일이나 실적에 비해 기관장 등 간부의 보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지적이 있다”며 공기업 등 공공기관의 임금체계를 손질하라고 청와대와 관계 부처에 지시한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진행 중인 공기업 기관장의 인사 개편이 마무리되는 대로 한나라당과의 협의를 거쳐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공공기관운영법)을 개정해 임금을 합리적으로 책정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이날 “이 대통령이 최근 일부 금융 공기업에 대해 ‘외국 IB(투자은행)처럼 리스크를 안고 사업하지 않고 대부분 여신(與信)으로 먹고살면서 무슨 연봉을 수억 원씩 받느냐’는 취지의 지적을 했다”며 “경영평가 등을 기초로 해당 기관장 등의 보수를 정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획재정부 장관이 위원장인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산하에 회계사 등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보수책정위원회’(가칭)를 둬 각 공기업의 실적 등을 실사해 기관장의 임금을 책정토록 하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은 각 공공기관의 이사회가 인건비를 자체적으로 책정하면 이를 공공기관운영위가 심의 의결하는 식으로 보수가 책정되고 있어 공기업의 방만 경영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정부는 특히 수년 전부터 ‘신의 직장’으로 불리며 고용 안정성과 함께 높은 임금을 받아 여론의 질타를 받아온 일부 금융 공기업을 우선 손질 대상으로 꼽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주요 공기업 기관장 연봉(기본급+성과급+급여성 복리후생비 등·시간외 및 연월차 수당과 업무추진비는 제외)은 한국산업은행이 7억4214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은행(7억2289만 원) 한국수출입은행(6억8000만 원) 산은캐피탈(5억2952만 원) 한국투자공사(4억8000만 원) 등의 순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