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 5월 27일 주일 오후 3시~~

장소 : 강동구 길동 은평교회 본당

음원 : 은평교회 2부 성가대.

믹서 : GL4000 프리 사용 - 다이렉트 아웃으로 6채널 사용

인터페이스 : firestudio by presonus

마이크 : 성가대 마이크 4개 - C3000

   피아노 : 슈어 PZM 마이크 (모델명은 잘~~)

   전자오르간 : 라인 아웃 

   MXL603-2개 : 앰비언스 2채널.


대충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했구요.

기존에 설치된 성가대 마이크 네개의 믹서 다이렉트 아웃, 피아노, 전자오르간 아웃을 인터페이스의 라인 인풋 6개로 받고,

중층 에 앰비언스로 xy 설치해서 인터페이스의 프리로 직접 받았습니다.


설치, 녹음 혼자 다 하느라 죽는 줄 알았구요, 문제는 세팅만 하고 내려가서 성가대 서는 바람에 세팅이후의 실제 녹음은

손 볼 일도 없었습니다~~~ㅋㅋㅋㅋ


다이렉트 아웃을 프리로 받았지만, 게인은 손댈수밖에서 없어서 미리 사진으로 찍어두고 녹음후에 다시 원상 복구하느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석하신 성가대원분들이십니다. 60분이 채 안되시는군요. 주일 성가대는 보통 90분정도 서십니다.

여러가지 아쉬움이 남습니다.

일단 아래 두줄을 비우고 위로 올라갔어야 직접 마이크에 흡음이 더 잘되었을것 같고, 앰비언스도 잘 나왔을것 같다는 생각이듭니다.

왼쪽에 앨토, 오른쪽에 소프리, 가운데 위가 배이스, 가운데 아래가 테너입니다.

설치된 마이크의 앞쪽으로 각 파트를 나눌까도 생각했는데, 그럼 발란싱에 자신이 없고, 자리 정리할 정신도 없어서 포기.

저 마이크들은 각도도 다 제멋대로 입니다.ㅠ.ㅠ. 갈수록 틀어지는데 아무도 손을 안봐서.ㅠ.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앰비언스 마이크 설치

앰비언스 들어보면서 위치도 조절하고, 더 아래로도 움직여보고 조절을 해야하는데 설치에 급급했네요.

그래도 녹음된거 들어보니 앰비언스 설치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녀석은 이번에 물건너온 MXL603 두자루 긴급 설치~~~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지막으로 믹서쪽 사진

컴퓨터, 믹서는 본당 장비 사용했습니다.

제놋북이 비스타인데, 저 장비 드라이버가 안나와서 어차피 못쓰는관계로 본당 장비 이용했습니다.

1,2번 채널은 앰비언스 콘덴서 마이크 직결,

3~6번은 성가대 직접 마이크 다이렉트

7는 전자오르간 라인 입력 다이렉트

8은 피아노 pzm 마이크 입력 다이렉트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작업을 해본다는게 참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냥 매주 자리 채우고, 연습해서 성가대 서는 걸로 끝나지 않고,
뭔가를 남기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예배 시간이나 회중의 눈길도 느낄 필요 없고, 음악 자체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걸 느낄수 있었고,
책장 넘기는 것조차 조심스럽게 하는 모습들을 통해서 참여하시는 분들의 보통때와는 다른
감정을 느낄 수 있어서 더욱 그렇습니다.

교회에서 이런 일들을 함으로써 다른 부서에도 여러가지 면으로 많은 자극이 될 수 있을거라는
생각도 드는군요. 성가대나 방송실등에서도...

저 개인적으로는 현장 작업이 적어서 실무에 대한 감이 없는데, 이런 녹음작업들을 진행해봄으로써
더 많은 경험들을 쌓아갈 수 있어서, 다른 교회들에도 더 많은 도움을 드릴 수 있는 지식을
쌓아갈 수 있어서 좋고..

이렇게 다른 분들이 참조할만한 자료로 남길 수 있어서 더욱 좋고~~~
아래 카페에 있는 음향, 영상 설치기입니다.
기본 컨셉은 나이 드신 분이 운영하시는거니
1.최대한 간단하게, 어렵지 않게..
2.다양한 장비를 다루지 않도록 소스는 PC를 활용.
3.간단한 스피치나 MR을 이용한 노래 정도 할 수 있도록..

소스는
1.배경음악 : PC의 오디오 출력 사용
2.동영상 재생 :DVD,디빅 및 웹 동영상 재생도 PC 사용
3.스카이 위성 방송 송출
4.무선마이크
5.공연용 MR 재생 : PC 이용

대략 이런 컨셉으로 결정.
아무래도 사람 욕심이라는게 주변에서 많이 봐온건 자꾸 하고 싶어지는 법이라,
복잡해질 수밖에 없더군요.

그래도 해달라고 말씀하시는건 최대한 다 해드릴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래서 나온 구성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장비의 세팅은 배선 및 세팅, 연결들은 제가 직접 하고,
스피커 설치 및 배선용 CD관 매립은 인테리어 쪽에서 했습니다.

실제 장비 사진들.

1. 모니터랑 컴퓨터.
모니터와 프로젝터는 온보드 그래픽 카드의 듀얼 채널을 이용해서 바탕화면 확장으로 세팅.
그래서 프로젝터로 동영상을 보거나 사진 디스플레이를 하더라도 LCD에서는 맘대로 다른 작업 가능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컴퓨터와 그 아래 리시버 - 나중에 리시버 위에 위성셋탑을 설치.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오디오믹서, 무선마이크, 키보드, 마우스
요건 위에 키보드 레일을 한칸 더 달아서 사용예정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스크린.
요건 별도의 스크린을 구매하지 않고, 인테리어 하시는 집사님이 페인트로 작업하셨습니다.
특별히 후작업을 해서(후끼?) 스크린 효과를 나게 하셨네요. 화질은 괜찮았다는 생각이~~
덕분에 주변 테두리도 임의로 인테리어 까지..
아쉬운건 전체 공간에서 가운데에 스크린이 위치한게 아니라 저 벽면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바람에
프론트 스피커의 중간에 스크린이 있는것이 아니라 동영상 재생시에 왼쪽 스피커가 좀 크게 들리네요.
이 화면은 사진 파일을 올려서 좀 어두워 보이고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건 윈도우 바탕 화면을 완전 사이드에서 찍은 건데 아주 선명하게 잘 나왔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프로젝터 : 프리미어 x713이라는 모델.
무려 3500안시. 물론 믿기는 어렵겠지만, 밝기는 무척 밝구요.
아쉬운건 촛점이 너무 길어서 저 사이즈에서 한 5,6미터 이상 뒤로 빼야 가능.
요즘 가정용으로 단촛점 많은데 비하면 좀 아쉽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모니터랑 프로젝터
이런식으로 완전히 별도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바탕화면 확장으로 세팅.
물론 처음 다루시는 분들은 힘들지만, 원리를 좀만 이해하시면 잘 사용하실수 있을듯.
지금은 이걸로 문제는 없으시네요.
지금 프로젝터로는 카페 사진 모음을 슬라이드 쇼 하는 중이고,
LCD에서는 음악 파일을 BGM으로 재생하는 중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장비 내역.
1.프로젝터 : 프리미어 x713
2.리시버 : 온쿄 sr504
3.믹서 : 베링거 802
4.무선마이크: 젠하이져 프리포트 핸디형
5.스피커 : akata 8인치
6.모니터 : 파인포스 22인치 무결점 와이드
7.컴퓨터 : amd 브리즈번 3600+/유니텍 메두사/디지웍스 1G/폭스콘 슬림 케이스

예산은 재료비만 350정도 들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