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사태로 인해 최근 몇개월간 가장 많은 온라인 설교를 듣게 되었습니다. 항상 들어왔던 설교임에도 온라인으로 듣게 되면서 교인으로써 설교를 어떻게 들을것인가 하는 고민을 하면서 동시에 신자로써 설교가 어떻게 되었으면 좋겠다 하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신학을 전공하지도 읺았고 알지도 못하며 단지 인생의 대부분을 교회에서 보낸 경력뿐이 없으므로 이 글은 신학적인 근거가 전혀 없는 글입니다.

신자(본인)에게 설교는 성경의 해석이고 그 해석이 지금 나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수 있는가에 대한 지침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수단으로써의 설교는 다수의 교인과 설교자와의 대중 커뮤니케이션이라고 볼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때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이 설교는 구어체인가 문어체인가 하는것이었습니다. 이런 생각을 계속 하던 중에 최근 어느 프로그램에서 설교는 말이어야 한다는 말을 지나가면서 들었는데 그 점이 제가 하던 생각과 일치되는 것이어서 확신하게 되었고 그래서 이글을 써보게 되었습니다.

많은 설교들을 들으면 크게 두가지 부류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쓰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데 하나는 일상의 어휘를 쓰는 것이고 하나는 문어체의 어휘를 쓰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에게 더 크게 느껴지는 것은 설교 원고의 의존도였습니다. 설교 원고를 정말 코피를 쏟아가며 정열을 다해 준비하는것을 충분히 느낄만한 내용임을 들으면서 어느 설교라도 느끼게 됩니다. 20~40분 동안 끊임없이 읽어내는 엄청난 물량을 한자한자 써내려간 그 노력이 담긴 원고는 정말 그 과정자체가 대단하다고 모든 설교들을 들으면서 느끼고 목회자분들을 존경하게 됩니다만... 그렇게 열정을 다한 원고이기에 한자라도 놓치게 되면 잘못될거 같은 긴장감에 설교자도 회중도 그 내용 자체로 들어가지 못하고 원고에 매여 있음을 문뜩문뜩 느끼게 됩니다.

원고에 매여 있는 설교.. 이것이 내가 그렇게 설교의 본질로 들어가지 못하는거 아니었는가 하는..

때문에 드는 생각은 설교는 문어체로 쓰어진 구어체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원로 목사님이신 장상래 목사님의 설교가 대표적이라고 봅니다.

분명히 원고를 충분히 작성해 오심에도 실제로 풀어지는 설교는 구어체이고 그 내용들은 성경에서 벗어나지 않고 분명한 대주제와 소주제를 벗어나지 않고 계속 "말"로 풀어가십니다. 때문에 글로 쓸때 나도 모르게 하게 되는 인과관계에 대한 분명한 논증의 제시, 그를 보강할 예화들이 필요하게 되고, 최종 결론로 그럴듯하게 문장으로 만들어져야 해서 뭔가 논리적으로 분명한 문장을 써낼려 하는 그런 경향을 보이게 되는것 같구요.

이러한 '말'로 풀어주시는 설교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연스레 설교의 주제가 정리가 되고 이게 판서설교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능력이 되는것 같습니다.

반면, 참 멋진 문장들과 주제들을 나열함에도 실제로 설교를 듣는 입장에서 필기를 하려다보면 대주제/소주제로 정해진 문장 외에는 쓸 내용이 거의 없게 되는 설교들을 자주 보게 되는데(물론 저 개인적인 정리 능력 부족도 이유겠지만) 이련 경우가 전형적인 문어체로 논리적으로 씌여지는 설교의 특징인것 같습니다.

또다른 좋은 예가 아침라디오인데 개인적으로 놓치지 않고 들을려 하는 TBS 뉴스공장과 CBS김현정의 뉴스쇼의 진행자들입니다.

김어준의 오프닝멘트는 분명히 원고로 씌어진 글인데 실제 멘트를 들으면 전형적인 구어체이고 짧지만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김현정PD의 인터뷰를 듣고 있자면 분명히 사전 질문지대로의 질문이 대부분인데 그 질문들을 충분히 구어체로 전환하여 진행하고 때문에 청자들은 인터뷰이들이 자기와 얘기하는 것같은 느낌을 받게 되고 이 점의 뉴스쇼를 지금의 위치에 올려놓은 거 같구요.

설교를 구어체로 한다는 건, 설교자가 그 설교의 내용을 충분히 숙지할 뿐더라 그 숙지한 내용이 한번의 설교를 위해서가 아니고 본인이 쌓아 온 신학사조에 기반한 출력물이어야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렇지 않으면 각종 논리와 문서 작성의 기술에 따른 연설문에 불과한 것이고 그것은 개신교에서 정의하는 성령의 역사하심에 근거한 가르침이 될수 없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원고에 얽매이지 않는 극단에 이르면 돌아가신 모 목사님처럼 설교단에 올라가기 직전에 성령의 역사하심으로 주제가 바뀌는것도 가능할거구요.

문어체로 씌여지는 구어체는 그래서 단순히 그 어휘의 사용뿐 아니라 그 주제의 선명함이 근거가 되어야 하고 단순히 시간을 채우기 위해 원고의 분량을 맞추는게 아니라 선정한 주제를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씌여지는 원고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ETS2의 구체적인 내용은 나무위키 참조.. https://namu.wiki/w/%EC%9C%A0%EB%A1%9C%20%ED%8A%B8%EB%9F%AD%20%EC%8B%9C%EB%AE%AC%EB%A0%88%EC%9D%B4%ED%84%B0%202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 나무위키

전작인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와 다른 점은, 현실성이 급증.전작에서 모든 트럭이 가명으로 나왔던 것과는 달리 ETS2는 트럭 제조사에게서 라이선스를 받아왔는데 처음에는 르노와 만, 스카니아��

namu.wiki

그럼에도 이 게임의 특성상 완전 초보들이 해야할 내용의 필수적인게 몇가지 빠져있어서 왕초보입장에서 몇가지 기술.

1. 돈벌기 

그냥 운전만 할려면 건바이건으로 몸만 가서 운전하는 모드를 쓰면 되는데.. 그러면 돈버는 속도도 느리고 내차 개념이 없어서 차에 대한 애정도 떨어지고.. 이런 이유로 돈을 버는게 필요.

돈을 벌려면 자기 회사를 세워야하고 회사를 세우고 차고를 사고, 거기에 트럭을 사서 배치하고 드라이버를 고용하는 단계를 밟아야 함.

그런데 그냥 돈을 벌어서는 이 작업을 할 수 없으니 은행의 힘을 빌려야 함 - 대출!!

먼저 운전을 하다보면 돈일 벌리고 어느정도 자본이 되면 은행에서 메시지가 날라오고 은행에 가보면(아이콘 클릭) 대출 가능 금액이 있으며 차 한대를 살정도의 금액 대출. - 자차로 운행하는게 훨씬 돈을 많이 벌수 있음.

자차로 배송을 하다보면 또 어느정도 돈이 벌리고 은행에 가보면 대출 가능 금액을 볼 수 있는데 대략 대출과 가진 돈을 합해서 18만정도가 모이면 차고를 구매.

문제는 여기서 화면에 차고 구매라는 아이콘이 있지만 이걸 통해서는 처음엔 구매 불가.

초기시작엔 반드시 오프라인으로 차를 몰고 원하는 도시의 차고지를 직접 가서 아이콘에 도착해야 구매 가능.

이정도 벌려면 여러도시 다녔을테니 월드맵에서 도시를 확대해서 보면 차고지 아이컨 찾을 수 있는데 여길 찍고 찾아가면 됨. 

차고지 두 곳을 마련하고 (엄청 먼거리) 트럭/드라이버를 두명정도 고용한 상태가 되면 돈벌 준비 끝.

상세한건https://flymoge.tistory.com/1134

 

유로트럭 2 배달 없이 직원수를 늘리는, 순식간에 부자가 되는 꿀팁

사실 몇 년 전부터 써오던 방법인데 글 쓰는 걸 미루고 미루다 지금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레벨 36, 스킬을 모두 다 찍는 레벨까지 키우는 것도 지겨우신 분들이 많으실텐데 언제 직원 230�

flymoge.tistory.com

이 링크 참조. 일부러 게임사에서 놔두는건지 모르겠는데 이 차고 끼리의 빠른 이동으로 시간을 빠르게 흐르게 해서 그동안 자신이 고용한 드라이버와 트럭이 돈을 벌게 하는게 이 치트의 핵심.

여튼 이러고 나면 혼자서 뼈빠지게 돈벌고 직원들은 찔끔 벌던게 역전이 되고 드라이버 레벨도 직원들이 훨씬 높게? 바뀌는 꿀 상황이 됨.

+ Recent posts